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리뷰/방송.연예

왓챠플레이 요금제 가격

by 도비삼촌 2020. 9. 19.


얼마전에 포스팅했던 넷플릭스 요금제에 이어 오늘은 왓챠플레이 요금제에 대한 정보글을 쓰려고 한다. 물론 전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있는 넷플릭스만큼의 사랑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국내에서 꽤 많은 분들이 왓챠를 구독중인 것으로 안다. 아무래도 서비스 자체의 특성이 넷플릭스와는 달라 왓챠를 더 선호하는 분들도 있다.

그럼 오늘은 '왓챠'의 구독서비스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요금제까지 완전정복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왓챠'


왓챠는 원래 정식 명칭이 왓챠플레이였지만 많은 분들이 뒤에 붙은 플레이를 빼고 '왓챠'라는 표현을 쓰면서 2020년 7월 정식명칭을 왓챠로 변경했다. 어플의 이름도 이제는 왓챠로 나온다. 물론 아직 많은 분들이 왓챠플레이라고 사용하고 있기에 나 역시 제목에 플레이를 달아 검색에 누락되지 않도록 해두었다.

왓챠는 2016년 1월 31일부터 시작된 OTT 서비스다. OTT는 Over The Top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는 TV 서비스를 일컫는다. 대표적인 OTT 서비스로는 넷플릭스와 왓챠, 애플TV+, 아마존 프라임 등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글로벌 OTT 서비스와는 달리 왓챠는 토종 한국기업에서 서비스한다. 현재 730만명이 넘는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으며 2019년 228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올해는 가입자의 증가로 더 많은 수익이 예상되고 있다. 최근에는 처음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다. 왓챠가 처음으로 공략하는 해외시장은 일본으로 서비스 초기부터 일본시장을 잠재고객으로 설정해서 준비해왔다. 9월 16일부터 왓챠 재팬으로 일본 전역에서 서비스 예정이다.


다음으로는 왓챠 서비스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왓챠는 국내에서 유명한 OTT 서비스인 넷플릭스와 달리 자체제작 콘텐츠를 만드는 규모는 아니다. 대신 차별화 전략으로 수많은 고전영화들을 서비스하고 있고, 일본 드라마, 국내의 드라마와 예능들을 많이 서비스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서구권의 드라마, TV쇼, 다큐 등에 특화되어 왓챠에 비해 영화나 국내, 일본 작품 수가 적은 것을 보면 취향에 따라 선택지가 달라질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넷플릭스와 왓챠를 모두 구독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확실히 고전작품들에 대해서 왓챠가 훨씬 더 우위를 점하고 있다. 오래된 작품들은 넷플릭스에서 기간만료 등의 이유로 서비스하지 않지만 왓챠는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

왓챠와 넷플릭스의 컨텐츠 뿐만 아니라 다른 면들을 좀 더 비교해보면, 일단 영상 퀄리티의 차이가 있다. 똑같은 화질을 서비스하더라도 재생시 그 퀄리티가 확연하게 차이난다. 물론 기술력이 좀 더 좋은 넷플릭스가 더 나은 화질과 음질을 보여주며, 이러한 차이는 인코딩을 직접하는 넷플릭스와 왓챠의 차이 정도로 알아두면 될 것 같다.

그리고 왓챠의 경우 간혹 화면비율이 맞지 않는 영화들을 업로드하면서 양옆의 화면을 그대로 짤라내는 경우가 있어 일부 영화에서는 문제가 되기도 한다. 글로벌 기업만큼의 서비스를 보이기는 쉽지 않음이 이런 부분에서 확실히 드러난다. 그래도 나름 자체적인 강점을 내세워 국내 OTT 시장에서 선방하고 있는 것을 보면 대단하다.



'왓챠 요금제'


이제 왓챠의 요금제에 대해 알아보자. 왓챠의 요금제는 현시점을 기준으로 총 3개가 운영되고 있다. 만약 신규로 가입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선택지는 2개지만 기존 고객들의 경우 유지되는 서비스로 인해 3개가 운영되고 있다.

그 스토리를 보면 과거에 왓챠는 4,900원에 무제한으로 시청이 가능한 요금제를 운영했고, 2019년 3월 15일부터 요금제를 인상해 7,900원짜리부터 가입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기존에 구독하던 고객들에게는 과거와 동일하게 서비스와 가격을 유지하면서 추가로 가입은 되지 않는 하나의 요금제가 더 생겨난 것이다.


그리고 그 이후 2019년 12월 18일, 프리미엄 요금제를 출시하며 다인 동시 접속이 가능한 요금제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현재 운영 중인 요금제는 총 3개이고 이러한 요금제를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1. 베이직

- 월 요금 : 4,900 원
- 해상도 지원 : 1,080p
- 동시접속 가능 인원 : 1 명
- 지원기기 : 모바일, 태블릿, PC

2. 일반

- 월 요금 : 7,900 원
- 해상도 지원 : 1,080p
- 동시접속 가능 인원 : 1 명
- 지원기기 : 모바일, 태블릿, PC

3. 프리미엄

- 월 요금 : 12,900 원
- 해상도 지원 : 4K UHD 이상
- 동시접속 가능 인원 : 4 명
- 지원기기 : 모바일, 태블릿, PC, 스마트TV, Android TV, Chromecast


위와 같이 운영되고 있지만, 요금제 구성에 대해서는 조금 말이 많다. 오직 프리미엄 요금제만 다인 동시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4K 서비스가 거의 없기에 큰 메리트가 없어서다. 지금 현재로는 사실상 여러명이 나눠서 요금을 부담하라고 만든 요금제다.

그래도 4명이서 나눠서 프리미엄 요금제를 사용한다면, 인당 3,225원이라는 가격에 사용이 가능하니 싸게 이용이 가능한 장점은 있다.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확실히 메리트는 있는 OTT 서비스로 그 컨텐츠가 궁금하다면 2주간 무료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니 한 번 사용해보는 것도 추천한다. 넷플릭스는 한달이지만 왓챠는 무료서비스 기간이 2주다. 이 부분을 헷갈리지 말고 미리 해지를 해야한다.

그럼 이상으로 왓챠에 대한 포스팅을 마무리한다. 아래는 넷플릭스 요금제에 대한 글로 참고하여 자신에게 맞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바란다.
https://dobi-freedom.tistory.com/98

넷플릭스 요금제 가격

오늘은 넷플릭스 요금제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넷플릭스는 전세계적으로 이미 1억 9,00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OTT(Over The Top) 서비스다. 간단히 OTT 서비스에 대��

dobi-freedom.tistory.com




댓글